컴퓨터에서 수는 2진 시스템을 이용해서 표현한다.
따라서 수치 데이터의 표현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진법의 개념과 변환을 알아야 한다.
* 진법 ( number system )이란 수를 세는 방법 또는 단위를 의미하며,
r진법은 0부터 (r-1)까지 r개의 숫자만을 사용해서 수를 표현한다.
2진법 - 0,1
8진법 - 0,1,2,3,4,5,6,7
10진법 - 0,1,2 ... 9
16진법 - 0,1,2 ...9,A,B,C,D,E,F (A-10, B-11, C-12, D-13, E-14, F-15)
1). 2진수의 10진수로의 변환
2). 10진수의 r진수로 변환
- 기본적으로 10진수에서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을 구분하여 각각을 별도의 방법으로 처리한 후 그 결과를 단순히 연결해 나열하면 된다.
- 정수 부분 : 해당 10진수 값을 변경하고자 하는 r진수로 몫이 0이 되는 순간까지 나누기처리를 하고 저장된 나머지를 역순으로 나열한다.
- 소수 부분 : r진수 값으로 곱셈 실시, 정수 부분은 따로 저장하고 소수 부분은 다시 곱셈 실시, 소수 부분이 0이 되는 순간 종료하며 저장한 정수 부분 앞에 0. 을 붙이면 소수 부분에 대한 r진수로 변경완료
3). r진수( 2,8,16) 간의 변화
- 2진수, 8진수, 16진수 사이에는 비교적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상호 변환이 가능한다.
- 2진수 표현에서 소수점을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의 양방향으로 세 자리씩 묶으면 8진수의 한 자릿수가 된다.
네 자리씩 묶으면 16진수의 한 자릿수가 된다.
- 세 자리, 네 자리씩 묶었을 때 양쪽 끝에서 발생하는 빈자리는 0으로 채우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