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블릿 3

[2.2] JSP 동작 원리

JSP 처리과정 JSP페이지 요청을 처리할때, JSP를 직접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JSP를 자바코드인 서블릿 소스 파일로 변환 한 후에 컴파일해서 생성된 서블릿 클래스를 실행 하는 것이다. JSP에 상응하는 서블릿이 존재하지 않을경우, JSP 페이지를 서블릿 자바 소스 파일로 변환 변환된 서블릿 소스파일을 컴파일 하여 서블릿 클래스를 생성, 생성된 서블릿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 JSP에 상응 하는 서블릿이 존재하는 경우, 곧바로 서블릿을 실행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

JSP 2023.11.11

[1.6] 컨테이너

웹 응용프로그램들은 동적 콘텐츠를 생성하는 웹 컴포넌트로 인식되며, 이러한 웹 컴포넌트를 저장하는 저장장소의 역할, 메모리 로딩, 객체 생성 및 초기화 등 서블릿의 생명 주기를 관리하고 JSP를 서블릿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바로 웹 컨테이너이다. 1. 서블릿 컨테이너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환경이 구성되어야 서블릿이 수행될 수 있다. 자바 실행환경 ( Java Runtime Environment, JRE ) 아파치와 같은 웹서버 ( NgineX ) 톰캣과 같은 서블릿 컨테이너 대부분의 서블릿 컨테이너들은 웹 서버의 역할도 수행하며, 웹 서버가 없더라도 서블릿이 실행되는데 큰 문제는 없다. 하지만 효율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웹 서버를 두고 웹서버에서 서블릿 컨테..

카테고리 없음 2023.11.04

[1.5] 자바 / 웹 프로그래밍

서블릿 JSP 1. 서블릿 자바 언어를 이용하여 웹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만든 표준 규약을 서블릿 규약이라한다. 이 규약에 따른 클래스를 서블릿 이라고 한다. 서블릿은 자바 언어로 구현되는 클래스이기 때문에 자바 언어로 코드를 작성하고 바이트 코드로 컴파일하여 사용된다. 원하는 로직을 서블릿으로 구현하고 컴파일된 샐행 코드를 서버에 탑재하여 웹 서비스를 제공한다. 프로그램의 내용이 수정될 경우에는 서블릿 클래스를 수정하여 다시 컴파일하고 그 결과를 다시 서버에 탑재해야 하는데, 이때문에 효율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스크립트 방식의 자바 기반 웹 프로그래밍 표준으로 JSP가 제안되었다. JSP는 컴파일을 하여 탑재하는 방식이 아닌, JSP로 작성된 소스 코드를 서버에 탑재하면 WAS 나 웹 컨테이너..

JSP 2023.11.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