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업내용정리 12

1.2 형식언어

[형식언어 기초] 형식언어 ( formal language ) : 어떤 알파벳에서 얻은 기호(symbol)들로 구성되는 문자열들의 집합 알파벳 : 기호들의 유한집합 문자열 : 알파벳을 구성하는 기호가 0개 또는 1개 이상 나열된 것 ex ) 집합 T = { a, b, c}가 주어졌을 때, 집합 T는 기호 a, b, c들의 집합이므로 알파벳이다. T로부터 만들어지는 문자열은 a, b, c, ab, ac, ca,..... 등이다. 문자열의 길이 : 문자열을 이루는 기호들의 갯수를 문자열의 길이라고 한다. |w|로 표시한다. ex) w1 = abc, w2 = abab 의 문자열에 대한 길이는 |w1| = 3 , |w2| = 4라고 할 수 있다. 공문자열 : 문자열의 길이가 0 인것을 공문자열이라고 한다. ε ..

1.1.1 컴파일러 개요 요약

어셈블러 : 저급언어를 저급언어로 번역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번역기 어셈블러는 저급언어인 어셈블리어를 입력으로 하여 저급언어인 기계어로 번역하는 번역기 컴파일러 : 고급언어를 저급언어로 번역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번역기 저급언어란 기계의 구성과 관련이 깊은 언어로 기계 중심 언어 ( low - level - language ) 프리프로세서 : 고급언어를 다시 고급언어로 번역하는 번역기 프리프로세서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유용한 기능들을 추가하여 언어를 확장하는 경우 주로 사용된다. C언어에서의 표제 파일 (header), 매크로, 조건번역 등의 기능도 프리프로세서이다. 인터프리터 : 고급언어를 입력받아 실행결과를 바로 출력하는 것 고급언어로 작성된 원시 프로그램을 중간코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중간코드를 명령..

1.1 컴파일러

컴파일러 - 간단하게 말해서 언어를 번역하는 번역기 - 컴퓨터와 인간사이에 의사전달을 하기 위한 것 고급언어를 저급언어(기계어)로 번역한다. - 번역기에는 어셈블러(assembler), 컴파일러(compiler), 인터프리터(interpreter), 프리프로세서(preprocessor) 등이 있는데 이들 중 가장 대표적인 번역기가 컴파일러이다. 번역기 종류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 1). 컴파일러 - 번역 후에 실행된다. - 효율적이며 반복문 처리에 효과가 있다. - 큰 기억장소를 요구한다. - FORTRAN, COBOL, PASCAL, C, C++, JAVA - 컴파일러의 논리적 구조 어휘분석 : 원시 프로그램을 읽어 토큰단위로 분리하여 출력 구문문석 : 토큰들이 주어진 문법에 맞는지 검사 의미분석 : 구..

문자 표현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도 2진수로 표현되어 처리한다. 각 문자마다 유일한 값으로써 코드가 부여되고, 이에 대한 2진수로서 컴퓨터 내부에 표현된다. 각 문자에 대해서 사용자마다 임의로 코드를 부여하면 컴퓨터의 사용이 복잡하고 혼란스러워서 약속된 코드 체계가 만들어졌는데 그중에서 ASCII와 유니코드(Unicode)가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ASCII (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 - 미국표준협회 ( ANSI :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ute )에서 개발한 코드 - 7비트를 사용해서 각 문자를 나타낸다. 총 128개의 서로 다른 문자를 표현 할 수 있다. - 왼쪽에 1비트가 추가된 형태로 사용되는데 이..

실수 표현

실수는 정수의 표현 방식과 달리 부동소수점 방식을 사용하여 표현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는 정수보다는 좀 더 복잡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연산도 복잡하게 처리된다. 1,234,000,000,000 / -0.0000000005678 에 대해서 10진수로 표현하려면 많은 메모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과학적 표기법으로ㅗ 바꿔서 표현하면 일정한 수의 비트 큰 수 또는 작은 수도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과학적 표기법을 활용한 부동 소수점 방식으로 표현한다. 부동소수점 표현 방식은 유효숫자를 사용한 곱셈 형태의 과학적 표기법을 바탕으로 수를 표현한다. S : 부호 / M : 가수 / E : 지수 초과 표기법 - 부동소수점 방식의 지수 부분을 표현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정수 표현의 방법 - 지수값 표현을 위해 n비트가 할당..

정수 표현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수는 크게 정수와 실수로 나뉘며, 이에 따라 컴퓨터에서의 표현 방식도 완전히 달라진다. 정수 : 소수점 이하의 값을 갖지 않는 수 ex ) 126 또는 -126은 정수 , 126.00 또는 -126.00은 정수가 아니다. 또한 컴퓨터에서는 무한한 범위의 수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무한한 양의 메모리가 필요하므로 실제로는 제한된 범위, 즉 정수표현을 위해서 할당된 메모리가 허용하는 범위만큼의 정수만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런 정수를 표현하는 방식은 크게 , 부호 없는 정수 (unsigned integer)와 부호 있는 정수 (signed integer)로 나뉜다. 1). 부호 없는 정수 부호 없는 정수에는 부호 ( +, - )를 표시하는 비트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음의 정수는 표현할 수..

진법

컴퓨터에서 수는 2진 시스템을 이용해서 표현한다. 따라서 수치 데이터의 표현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진법의 개념과 변환을 알아야 한다. * 진법 ( number system )이란 수를 세는 방법 또는 단위를 의미하며, r진법은 0부터 (r-1)까지 r개의 숫자만을 사용해서 수를 표현한다. 2진법 - 0,1 8진법 - 0,1,2,3,4,5,6,7 10진법 - 0,1,2 ... 9 16진법 - 0,1,2 ...9,A,B,C,D,E,F (A-10, B-11, C-12, D-13, E-14, F-15) 1). 2진수의 10진수로의 변환 2). 10진수의 r진수로 변환 - 기본적으로 10진수에서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을 구분하여 각각을 별도의 방법으로 처리한 후 그 결과를 단순히 연결해 나열하면 된다. - 정..

데이터와 정보

데이터 - 현실 세계로부터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단순히 얻어지는 값이나 사실을 의미 정보 - 어떤 상황에 대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지식 데이터를 정보로 가공하고 변환하는 일련의 과정이 바로 데이터 처리 (data processing)이다. 하나의 컴퓨터에서 모든 유형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형태에 무관하게 표현하는 방식이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비트 패턴이다. 컴퓨터 외부의 모든 데이터는 기계가 이해하고 다룰 수 있는 비트 패턴으로 변환되어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되고, 사용자에게 보여줄 적절한 형태로 다시 변환되어 출력된다. 비트패턴을 데이터 유형에 맞게 해석하고 처리하는 것은 입출력장치나 프로그램에 달려있다. [ 데이터 표현의 단위 ] 최소 데이터 단위 : 비트 ( bit..

컴퓨터 시스템 - 데이터와 사용자

컴퓨터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기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폰 노이만 모델에서는 실제로 데이터가 컴퓨터에 어떻게 저장되어야 하는지 정의하고 있지 않다. 컴퓨터는 전자적 장치이기 때문에 전자적 신호 처리 방식에 맞도록 표현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식이 되며 이에 따라 모든 데이터는 이진 상태를 나타내는 0과 1의 비트 패턴으로 표현한다. 일상의 데이터를 컴퓨터에서 처리할 때는 컴퓨터 내부 표현에 맞는 적절한 형태, 즉 비트 패턴으로 변환되어야 한다. 내부처리에 대한 결과는 이진 형태이기 때문에 출력을 위해서는 우리가 알아볼 수 있는 적절한 형태로 다시 변환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컴퓨터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반적인 과정에 사람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므로 사용자 또는..

컴퓨터 시스템 - 소프트웨어

컴퓨터를 제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목적에 맞는 적절한 프로그램이 반드시 있어야 하며, 모든 종류의 프로그램을 총체적으로 표현하는 용어가 바로 소프트웨어이다. 컴퓨터 하드웨어를 통해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하드웨어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소프트 웨어( 프로그램)가 필요하다. 소프트웨어는 크게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로 구분할 수 있다. 시스템소프트웨어에는 운영체제, 컴파일러, 각종 유틸리티등이 있다. 응용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작업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일반적인 컴퓨터 사용자가 주로 이용하는 프로그램이 이에 해당한다. ( 워드,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 그래픽 프로그램 등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