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내용정리/컴퓨터과학개론

문자 표현

주노팍 2023. 11. 18. 16:31
반응형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도 2진수로 표현되어 처리한다.

각 문자마다 유일한 값으로써 코드가 부여되고, 이에 대한 2진수로서 컴퓨터 내부에 표현된다.

각 문자에 대해서 사용자마다 임의로 코드를 부여하면 컴퓨터의 사용이 복잡하고 혼란스러워서 약속된 코드 체계가

만들어졌는데 그중에서 ASCII와 유니코드(Unicode)가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ASCII (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 

 - 미국표준협회 ( ANSI :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ute )에서 개발한 코드 

 - 7비트를 사용해서 각 문자를 나타낸다. 총 128개의 서로 다른 문자를 표현 할 수 있다.

 - 왼쪽에 1비트가 추가된 형태로 사용되는데 이를 확장된 ASCII라고 부른다. 

 - 추가된 최상위 비트에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패리티 비트로 사용된다. ( 짝수 패리티, 홀수 패리티 ) 

 

유니코드 

 - 전 세계의 모든 문자를 표현하기 위한 16비트 코드체계

 - UTF-8 / UTF-16 / UTF-32의 세가지 인코딩 방식을 지원하며 각각 8비트, 16비트, 32비트 단위로 문자를 표현한다.

반응형

'수업내용정리 > 컴퓨터과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수 표현  (1) 2023.11.18
정수 표현  (0) 2023.11.18
진법  (1) 2023.11.18
데이터와 정보  (0) 2023.11.18
컴퓨터 시스템 - 데이터와 사용자  (0) 2023.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