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0

컴퓨터 시스템 - 하드웨어, 폰 노이만 모델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여러 가지 특성을 갖는 시스템으로 존재하며, 하나의 완전한 시스템이 되기 위해서는 여러 요소로 구성된다. 하드웨어 ( hardware ) 스포트웨어 ( software ) 데이터 ( data ) 사용자 ( user ) 1). 하드웨어 - 눈으로 볼 수 있고 손으로 만질 수 있는 모든 기계 적인 부분을 의미 - 데이터 처리를 위한 기능을 수행 - 폰 노이만 모델에서 제시한 4개의 서브시스템이 하드웨어의 일반적인 핵심 장치에 해당한다. * 폰 노이만 모델 : 컴퓨터의 내부 구조와 처리 과정을 정의한 모델, - 4개의 서브시스템 : 기억장치, 산술논리연산장치, 제어장치, 입출력장치 기억장치 :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로 구분하며 주 기억장치는 데이터와 프로그램만을 기억하고 그 외에 많은 데..

1. 컴퓨터란 무엇인가?

컴퓨터는 데이터 처리기( data processor )라고 생각할 수 있다. 외부에서 데이터를 입력(input) 받고, 데이터를 처리(process)하고, 처리된 결과를 외부로 출력(output)하는 기계라고 정의할 수 있다. 입력, 처리, 출력이라는 기능적인 요소에 새로운 요소로서 프로그램을 추가하면 컴퓨터는 일련의 명령 집합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계가된다. 일련의 명령 집합이라는 것이 바로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기계가 주어진 데이터를 어떻게 조작할지를 알려 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요소이다. 결과적으로 컴퓨터는 ' 프로그램이 가능한 데이터 처리기 ( programmable data processor ) ' 라고 정의할 수 있다.

[2.2] JSP 동작 원리

JSP 처리과정 JSP페이지 요청을 처리할때, JSP를 직접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JSP를 자바코드인 서블릿 소스 파일로 변환 한 후에 컴파일해서 생성된 서블릿 클래스를 실행 하는 것이다. JSP에 상응하는 서블릿이 존재하지 않을경우, JSP 페이지를 서블릿 자바 소스 파일로 변환 변환된 서블릿 소스파일을 컴파일 하여 서블릿 클래스를 생성, 생성된 서블릿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 JSP에 상응 하는 서블릿이 존재하는 경우, 곧바로 서블릿을 실행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

JSP 2023.11.11

[2.1] JSP 페이지 기본 구조

line 1 : JSP가 생성하는 HTML 페이지의 종류와 사용할 charset을 설정 line 2 : JSP에서 사용할 자바 패키지를 임포트 ' ' : page 지시어 라고한다. line 4 ~ line 11 : HTML 태그와 자바 문법으로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한 스트립트 코드 line 6 ~ line 9 : 자바 명령문이 포함된 스크립틀릿 코드 JSP 페이지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스크립트요소 지시어 내장객체 액션태그 표현언어와 JSTL 1. 스크립트요소 - 동적 데이터를 생성시킬 때 사용되는 중요한 요소 - 스크립트 요소는 JSP 페이지에서 자바 코드를 삽입할 때 사용되며 3가지로 구분된다 1). 스크립틀릿 : JSP 페이지에 삽입되는 자바 프로그램 코드 : ' ' 태그를 사용 ex ) 2..

JSP 2023.11.11

[2.0] JSP 기술

JSP : JavaServer Page의 약자 - 동적인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코드가 담긴 스크립트를 포함하고있다. - HTML 태그를 통해 어려운 자바 코딩 없이도 자바 객체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 서블릿과 JSP를 지원하는 웹서버나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구현된다. - JSP 표준 태그 라이브러리( JSTL ) 과 같은 태그 라이브러리와 동적 데이터 표현을 위한 간단한 표현언어( EL )와 같은 기술들이 개발 환경을 더욱 풍성하게 해준다. 1. 템플릿 데이터 - 텍스트 혹은 XML, HTML 태그로 구성된 콘텐츠 - JSP에서 템플릿 데이터를 구성 요소로 사용할 수 있다. - JSP는 프로그래밍적 요소가 아닌 템플릿 데이터 부분은 그대로 출력 시켜준다. ex) HELLO,..

JSP 2023.11.11

[1.7] HTTP 프로토콜

HTTP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프로토콜로서 전송 계층의 프로토콜이며 TCP를 사용한다.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가 통신할 때 필요한 스펙을 정의하고 있다. HTTP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요청과 그에 대한 하나의 응답으로 구성되며 요청과 그에 대한 응답이 끝나면 크라이언트와 웹 서버는 서로 연결이 끊어진다. (1) connection-oriented와 stateless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정보를 요청하기 전에 먼저 네트워크 접속(connection-oriented)을 해야하며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받고 나면 자동적으로 접속 상태가 해제되어 서버에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가 남아있지 않게 된다.(stateless) 한번의 요청(request)에 대한 한번의 응답(..

JSP 2023.11.04

[1.6] 컨테이너

웹 응용프로그램들은 동적 콘텐츠를 생성하는 웹 컴포넌트로 인식되며, 이러한 웹 컴포넌트를 저장하는 저장장소의 역할, 메모리 로딩, 객체 생성 및 초기화 등 서블릿의 생명 주기를 관리하고 JSP를 서블릿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바로 웹 컨테이너이다. 1. 서블릿 컨테이너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환경이 구성되어야 서블릿이 수행될 수 있다. 자바 실행환경 ( Java Runtime Environment, JRE ) 아파치와 같은 웹서버 ( NgineX ) 톰캣과 같은 서블릿 컨테이너 대부분의 서블릿 컨테이너들은 웹 서버의 역할도 수행하며, 웹 서버가 없더라도 서블릿이 실행되는데 큰 문제는 없다. 하지만 효율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웹 서버를 두고 웹서버에서 서블릿 컨테..

카테고리 없음 2023.11.04

[1.5] 자바 / 웹 프로그래밍

서블릿 JSP 1. 서블릿 자바 언어를 이용하여 웹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만든 표준 규약을 서블릿 규약이라한다. 이 규약에 따른 클래스를 서블릿 이라고 한다. 서블릿은 자바 언어로 구현되는 클래스이기 때문에 자바 언어로 코드를 작성하고 바이트 코드로 컴파일하여 사용된다. 원하는 로직을 서블릿으로 구현하고 컴파일된 샐행 코드를 서버에 탑재하여 웹 서비스를 제공한다. 프로그램의 내용이 수정될 경우에는 서블릿 클래스를 수정하여 다시 컴파일하고 그 결과를 다시 서버에 탑재해야 하는데, 이때문에 효율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스크립트 방식의 자바 기반 웹 프로그래밍 표준으로 JSP가 제안되었다. JSP는 컴파일을 하여 탑재하는 방식이 아닌, JSP로 작성된 소스 코드를 서버에 탑재하면 WAS 나 웹 컨테이너..

JSP 2023.11.04

[1.4] 웹 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웹서버 웹에서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기능을 처리하는 프로그램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서비스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HTTP 프로토콜 기반으로 동작하므로 웹 서버를 HTTP 서버 라고도 한다. HTTP : 인터넷에서 웹서버와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 사이에서 웹 문서( 또는 하이퍼텍스트) 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규약 웹서버의 구체적 역할 1.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웹 문서를 찾아서 전달 하는 기능 처리 2. 요청 파일이 없거나 문제가 발생 했을때, 정해진 코드값으로 응답 3.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한 기본 사용자 인증을 처리 4. 프로그램에 대한 요청을 인식하면 수행하고,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전송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웹 서버의 기능을 구조적으로 분리하..

JSP 2023.11.04

[1.3] 웹 애플리케이션

웹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웹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한다. 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위치에 따라 웹 서버에서 수행되는 기술과 클라이언트인 웹브라우저에서 수행되는 기술로 나뉜다. * 클라이언트에서 요청한 웹 애플리케이션이 클라이언트에 전송된 후, 클라이언트 자원을 이용하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면 클라이언트 측 이라고한다. * 웹 애플리케이션이 서버에서 일차적으로 수행되면서 서버의 자원을 활용하고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할 경우에는 서버측 으로 분류한다. 구현하는 방식에 따라서 컴파일 방식과 비컴파일(스크립트) 방식으로 나뉘어진다. * 웹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컴파일되고 실행 팡리이 만들어진 후 사용되면 컴파일방식으로 분류한다. * 반면 요청이 있을 때마다 해석되거나 컴파일을 필요로 하지 ..

JSP 2023.11.04
반응형